타입스크립트에서 변수 선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Implicit types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추론을 하기 때문에 let a에서 이미 string으로 추론을 한다.
또는 타입을 아예 알려주는 방법이 있다.
Explicit types
빨간펜 친 부분이 타입 스크립트이다. b가 boolean이여야 한다, c가 string이여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배열일 경우에 타입을 명시적으로 표시해주는 방법이다.
player object에 어떤 속성은 name과 age가 모두 있고 어떤 속성은 age만 있게 구성해볼 것이다.
이때 타입을 어떻게 설정해줘야하는지 생각해보자.
이렇게 name과 age의 타입을 정해줬는데 이렇게 하면 name과 age가 모두 들어가야한다. age는 좀 optional하게 하고 싶다.
optional parameter
그럼 age 옆에 물음표를 넣어주면 된다.
Alias(별칭)
playerA와 playerB는 이름만 다를뿐 틀이 똑같다. 이렇게 중복되는 코드가 사용될 때 alias를 사용해주면 좋다. 더 적은 코드를 쓰게 해주기 때문이다~!
약간 생성자 느낌으로 써주면 된다.
이걸 Alias 타입이라고 부른다!! 재사용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guement와 return type 지정
함수의 return값의 타입을 지정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타입스크립트에서 함수의 매개변수는 자바스크립트와 다르게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다 !!
playerMaker가 return하는 타입이 string인것을 알 수 있다.
함수가 return 하는 것의 타입을 타입스크립트에게 어떻게 말해줄 수 있을까?
이렇게 써줌으로써 Player타입을 리턴한다고 명시해준 것이다.
이러면 매개변수로 number타입의 age를 받지 않아도 리턴 타입에 age가 있기 때문에
nico.age에 접근이 가능한 것 이다.
화살표 함수에서도 똑같은 문법을 사용한다 콜론 다음에 타입이 온다!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ts프로젝트 생성하기 (0) | 2022.06.29 |
---|---|
[TS] Classes / Intefaces (0) | 2022.06.29 |
[TS] Call Signatures / Overloading / 다형성 / Generics (0) | 2022.06.27 |
[TS] 타입스크립트의 타입들(2) (0) | 2022.06.26 |
[TS] 타입스크립트 시작하기!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