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S/생활코딩

[CSS 기초] font-size/color/text-align

by Meaning_ 2021. 12. 28.
728x90
반응형

font-size

 

폰트 사이즈는 글꼴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으로, 주요 단위로는 px,em,rem이 있다.

px은 폰트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em이나 rem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폰트의 크기를 바꾸면 폰트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화한다.

 

오늘날에는 이 세가지 단위 중 rem을 쓰면 된다. 

그 이유는 폰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리를 존중해주기 위해서이다. 


 

px와 rem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글꼴 크기를 키웠을때인데,

px은 바뀌지 않고, rem은 바뀐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html>
    <head>
        <style>
            #px{
                font-size:16px;
 
            }
            #rem{
                font-size:1rem;
            }
 
        </style>
 
    </head>
    <body>
        <div id="px">PX</div>
        <div id="rem">REM</div>
    </body>
 
</html>
cs

PX와 REM 모두 글씨크기가 같은 크기로 뜬다.

 

나같은 경우는 크롬이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로 열리는데 이때는 설정 ->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 글꼴에 가면

글꼴 크기가 중간으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글꼴 크기를 "매우 작음"으로 설정하면 

 

 

PX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데 REM은 크기가 작게 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처해있는 환경에 따라서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rem이다.

 

 

 

f12(개발자도구) 누르고 html태그 선택한 후  elements->computed를 통해 font-size를 확인해 볼 것이다. 

설정에서 글꼴의 크기를 "매우크게"로 지정했을 때 PX는 16px(고정)이지만 rem은 24px(가변)이다.

id 선택자 px에 해당하는 폰트 사이즈는 16px

 

아이디 선택자 rem에 해당하는 폰트사이즈는 24px

 이렇게, rem은 가변적으로 크기가 조정가능하다. 

 

text-align

 

text-align은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border는 테두리를 지정하는 거고 text-align = center; 해주면 가운데에 정렬하는 것이다. 

 

color

 

color를 지정하는 방법은 color name,hex,rgb가 있는데

 

hex는 #FF0000 이런거고 rgb는 사용할 때 꼭 rgb(0,255,255)처럼 괄호를 열어줘야 한다. 

 

font-family

font-family:arial,verdana,"Helvetica Neue" ;

arial이 없으면 verdana , verdana가 없으면 Helvetica가 나오게 하라는거

 

serif는 영문쓸 때 장식을 주는 걸 말하고 sans serif는 장식 안주는 걸 말함 

 

monospace -> 고정폭

 

font-weight -> 폰트 진하게 표시 

 

line-height -> 행과 행 사이의 간격(기본 값은1.2)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