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9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n;
public static int[] arr;
public static int[] d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arr = new int[n + 3];
dp = new int[n + 3];
for (int i = 1; i <= n; i++) {
arr[i] = sc.nextInt();
}
dp[1] = arr[1];
for (int i = 2; i <= n; i++) {
if (dp[i - 1] + arr[i] >= arr[i]) {
dp[i] = dp[i - 1] + arr[i];
} else if (dp[i - 1] + arr[i] < arr[i]) {
dp[i] = arr[i];
}
}
int max = dp[1];
for (int i = 1; i <= n; i++) {
if (dp[i] > max) {
max = dp[i];
}
}
System.out.println(max);
}
}
|
cs |
dp는 누적합을 이용해야한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처음에는 계산을 여러번하는 방법으로 생각했는데, 그러면 매우 비효율적이고 dp 의도대로 푸는게 아니게된다.
아래 링크로 걸어둔 사이트에서 생각하는 방법의 힌트를 찾아서 문제를 풀어봤다.
n=5이고 숫자가 2,1,-4,3,4가 있다고 해보자.
dp[1]=2
d[2]의 경우, arr[2]<dp[1]+arr[2]이므로, dp[2]=3이다.
dp[3]의 경우, arr[3]<arr[3]+dp[2] 즉 -4<-1이므로 dp[3]=-1이다
dp[4]의 경우 arr[4]>dp[3]+arr[4] 즉 3>2이기 때문에 dp[4]=3이 된다.
--> dp[4]같은 경우 때문에
else if (dp[i - 1] + arr[i] < arr[i]) {
dp[i] = arr[i];
}
else if 코드가 필요한 것이다. 그동안의 연속합이 현재 값보다 작으면 현재값부터 연속합으로 시작하는게 더 큰 값이 되기 때문이다. (--> 나는 이걸 생각하지 못했다ㅜㅜ)
dp[5]의 경우 arr[5]<dp[4[+arr[5] 즉 4<7이기 때문에 dp[5]=7이 된다.
2,3,-1,3,7 중에 가장 큰 값은 7이기 때문에 답은 7이 된다.
참고한 사이트
https://zoonvivor.tistory.com/152
내가 놓친 부분
dp를 풀다보면 무조건 최대값 만들기에만 몰두해서 정작 누적합을 통한 규칙만들기를 놓친다.
예를 들어 n이 3이고 2,1,-4가 있을 때
dp[1]=2
dp[2]=3
dp[3]=-1이다
이럴 경우 max를 구하는 코드를 통해 2,3,-1중 최대값인 3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3을 찾기에만 몰두해서 (2+1) ,(1+-4),(2+1,+-4) 계산을 다 하는 바람에 3번이나 계산해버렸다. 누적합을 이용해서 dp[1]~dp[3]까지 구하고, max 구하는 식을 통해 한번에 탐색할 수 있는 것이였다. 아직 연습이 더 필요할 것 같다...ㅜ
'알고리즘 > D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P기초] 계단오르기 (0) | 2021.08.06 |
---|---|
[java 백준] 실버 2/ 11055번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 (0) | 2021.08.05 |
[java 백준] 실버 3/ 2579번 계단오르기 (0) | 2021.08.05 |
[java 백준] 실버 2/11722번 가장 긴 감소하는 부분 수열 (0) | 2021.08.04 |
[java 백준] 실버 2/11053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0) | 2021.08.04 |
댓글